초보자가 마라톤(42.195km)을 무사히 완주 전략
본문 바로가기
달리기 & 용품

초보자가 마라톤(42.195km)을 무사히 완주 전략

by 키워드1223 2025. 4. 17.

초보자가 마라톤(42.195km)을 무사히 완주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와 전략이 필요합니다. 아래는 달리기 전 준비부터, 식사 및 보급 전략, 페이스 조절, 레이스 당일 요령까지 단계별로 정리한 완주 가이드입니다.

 

 

 

초보자용 4주 완주 목표 마라톤 훈련 플랜

 

 

1. 사전 준비 (훈련)

a. 훈련 기간

  • 최소 12~16주 이상 준비
  • 주 3~5회 달리기 훈련 (주 1회는 장거리)
  • 점진적으로 거리 늘리기 (가장 긴 훈련은 마라톤 3~4주 전 30~35km)

 

b. 훈련 구성

  • 장거리 러닝: 주 1회 (지구력 강화, 완주 연습)
  • 템포 러닝: 일정 속도를 유지하며 달리기 (유산소 능력 강화)
  • 인터벌 트레이닝: 빠르게 달리기 + 천천히 회복 반복 (심폐능력 향상)
  • 회복 런: 아주 느린 속도로 회복을 위한 달리기

 

c. 크로스 트레이닝

  • 걷기, 자전거, 수영, 근력운동 등을 병행하여 부상 방지

 

 

 

2. 대회 전날 준비

a. 식사 (카보로딩)

  • 탄수화물 중심 식사 (파스타, 밥, 고구마 등)
  • 지방, 섬유질,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
  • 수분 충분히 섭취

 

b. 잠자리

  • 대회 전날 밤에는 충분한 수면 (긴장으로 못 잘 수 있으니 이틀 전 숙면이 중요)

 

 

3. 레이스 당일 – 출발 전

a. 식사

  • 출발 3시간 전: 탄수화물 위주 가벼운 식사 (바나나, 식빵, 오트밀, 에너지바 등)
  • 1시간 전: 물 또는 스포츠음료, 바나나 1개
  • 카페인 섭취가 괜찮다면 출발 30분 전 커피 1잔 가능

 

 

 

4. 레이스 중 전략

a. 페이스 조절 (구간별)

구간 전략 설명

0~5km 워밍업 페이스 평소보다 느리게 출발. 심박수 올리고 몸 푸는 단계
5~20km 자신의 목표 페이스 유지 가장 안정적인 구간. 무리 금지
20~30km 집중 유지 구간 피로가 누적되기 시작. 리듬 유지 필요
30~35km 고비 구간 (벽) 몸이 무거워지고 포기하고 싶은 구간. 정신력 싸움
35~42.195km 의지의 구간 완주 목표에 집중. 속도보다 포기하지 않는 것이 중요

※ 초보자는 1km당 7~8분 페이스 추천 (완주 예상 시간: 5~6시간)

 

b. 에너지 젤 & 보급 전략

  • 첫 젤 섭취: 레이스 40~50분 후
  • 이후 30~45분마다 1개씩
  • 4~6개 준비 (개인에 따라 다름)
  • 물과 함께 반드시 섭취해야 흡수 잘 되고 속 안 뒤틀리는 것 방지

 

시간대 내용
0분 물 or 스포츠 음료
40분 첫 젤 + 물
1시간 20분 젤 + 물
2시간 젤 + 물
2시간 40분 젤 + 물
3시간 20분 젤 + 물

※ 가급적 스포츠 음료와 젤을 동시에 먹지 않기 (당분 과잉)

 

 

 

5. 기타 팁

  • 옷차림: 기온에 따라 조절, 땀 배출 잘 되는 기능성 의류 추천
  • 양말 & 신발: 충분히 적응된 신발, 마라톤 전 최소 100km 이상 신어 보기
  • 바셀린: 겨드랑이, 허벅지 사이, 발가락 사이에 발라 마찰 방지
  • 화장실 문제: 출발 전 미리 해결, 긴장할 경우 배탈도 있으니 유의
  • 연습 중 먹어본 젤만 사용: 대회 당일 새로운 제품은 금물

 

 

6. 마라톤 후 회복

  • 걷기로 심장 천천히 진정
  • 물, 스포츠 음료로 수분 보충
  • 스트레칭, 가벼운 마사지
  • 단백질 섭취로 근육 회복

 

 

요약 – 따라 하면 완주할 수 있는 팁

  1. 3개월 이상 체계적인 훈련
  2. 장거리 달리기 최소 30km 경험
  3. 대회 전날 탄수화물 로딩
  4. 출발 전 식사 및 수분 조절
  5. 천천히 출발하고 젤은 30~45분마다
  6. 35km 이후 의지 싸움, 완주에 집중
  7. 회복도 마라톤의 일부